잠재프로파일 분석(LPA)_Mplus
잠재프로파일 분석(LPA) =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가진 하위 집단을 파악
잠재프로파일 분석은 비슷한 패턴을 가진 사람끼리 모아서 집단을 구성하고
분석을 시도한다. 그렇기에 사람중심접근법(person-centered approach)라고도 한다.
연속형 변수의 패턴 확인 -> 잠재프로파일 분석(LPA: latent profile analysis)
이분형 변수의 패턴 확인 -> 잠재계층분석(LCA: latent class analysis)
○ 기존의 상관분석, 회귀분석, 구조방정식 분석 등은 변수중심접근법(variable-centered approach) ○ 변수중심접근법에서는 변수의 특성이나 변수 관계를 하나의 요약치로 설명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. ○ 그러나 실제에서는 케이스별로 변수의 특성이나 그 관계가 다양한 패턴일 수 있음. |
따라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후 결과는 집단의 특성에 따라 관계 수준에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.
** 출처: Kusurkar, R. A., Mak-van der Vossen, M., Kors, J., Grijpma, J. W., van der Burgt, S. M., Koster, A. S., & de la Croix, A. (2021). ‘One size does not fit all’: The value of person-centred analysi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.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, 10(4), 245-251.

기본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변인 투입, 결과변인 투입, 다수준 자료를 활용한 다층잠재프로파일 분석 등 응용한다.
1) 예측 변인 투입: 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을 찾아내는 모형 구성
2) 결과 변인 투입: 프로파일별로 결과변인의 차이를 찾아내는 모형 구성
3) 예측 및 결과 변인 투입
4) 다층모형 적용: 자료구조가 다층인 경우
-1수준에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예측 및 겨로가변인의 영향을 분석
-2수준에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2수준 변수의 영향력 파악